허 유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
untitled1952@gmail.com

‘세상을 어떻게 보는가’ 하는 것은 예술에 있어서, 더 나아가 학문 일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은 자신이 그리고 있는 대상-무엇을 보고 있는가-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관점-어떻게 보고 있는가-에 달려있다. 한마디로, 예술은 ‘이것’ 또는 ‘저것’인데, 그것은 ‘이것과 저것’ 바로 그 ‘사이’에 놓여있다.

허유(b.1988)는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시각 예술가로, 대학에서 동양화와 철학을 전공하고 이후 인간의 삶에 관한 주제를 추상적인 시각 언어로 풀어내고 있다. 주로 인식론, 인지, 존재, 관계, 상대성 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과 그에 대한 확신에 관해 질문을 던진다. 최근에는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관점’에 특히 초점을 두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평면에 그려진 형상이지만 즉각적으로 인식되지 않기를 바라며 그 안에서 약간의 착시 또는 운동성을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점이나 선 등 가장 기본적인 요소에 충실하면서도 다층적인 형상을 통해 설명하기 어려운 감각적인 깊이를 가질 수 있도록 작업하고 있다. 평소 대상에 대한 다양한 인식적 위트를 좋아하며 관심있는 주제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페인팅, 사진, 설치, 글, 그 어떤 방식도 가리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즐긴다.

학력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학사 졸업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학사 졸업

개인전
2023  ⟪Awe of Existence⟫, 프람프트프로젝트, 서울
2022  ⟪불완전한 푸른 꿈⟫, 트라아트갤러리, 서울
2022  ⟪사이의 시간들⟫, 0갤러리, 서울
2019  ⟪What is True⟫, 사이아트스페이스, 서울
2019  ⟪그것의 허⟫, 갤러리도스, 서울
2016  ⟪Substance⟫, 갤러리도스, 서울

그룹전
2022  ⟪Trace the Trace⟫, 금산갤러리, 서울, 한국
2022  ⟪Opening⟫, 아주르갤러리, 마이애미, 미국
2022  ⟪허유 x 이승화 2인전⟫, GS건설 갤러리시선, 서울, 한국
2022  ⟪Connecting Dots⟫, 아주르갤러리, 베를린, 독일
2021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유달초등학교(구,심상소학교), 목포, 한국
2021  ⟪공공미술서울25부작: 투명함에 관한 모든 것⟫, 평화문화진지, 서울, 한국
2021  ⟪As It Is⟫, 291포토그랩스, 서울, 한국
2020  ⟪보통의 여름⟫,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부산, 한국
2019  ⟪Tone 1⟫, 폴드갤러리, 런던, 영국
2019  ⟪Portrait 2019⟫, 시카미술관, 김포, 한국

아트페어
2023  ⟪FOCUS New York Artfair⟫, 첼시 인더스트리얼, 뉴욕, 미국
2022  ⟪FOCUS Artfair⟫, 카루젤 뒤 루브르, 파리, 프랑스
2021  ⟪FOCUS: Color of life⟫, 사치갤러리 & 폴드갤러리, 런던, 영국

출간
2018  김가원 저, ⟪뜻밖의 질문들⟫, 웨일북(서울)

강의
2020  ⟪철학입문: 철학을 시작하는 방법⟫, 0갤러리, 서울, 한국
2019  저자 초청 강연 ⟪뜻밖의 질문들⟫, 대구독서포럼, 대구

표지수록
2019  이수명, ⟪횡단⟫, 민음사(서울)
2019  아니에르노, ⟪사건⟫, 민음사(서울)

아트북 참여
2015  ⟪아트 옐로우 북 #1⟫, 시카미술관(김포)
2019  ⟪더블 판타지⟫, 허유 x 정진욱, 에세이스튜디오(서울)


HEOYU


Based in Seoul
untitled1952@gmail.com

I believe that “how to look at the world” is the central element of art, and furthermore, studies in general. However, it depends not on the object which oneself draws — what one looks at — but on one’s point of view — how one looks at the objects. In other words, art is “this” or “that,” and it indeed lies between “this and that.”

Heoyu(b.1988) is a Korean artist who is currently based in Seoul. She obtained a degree in Asian Painting and Philosophy and expresses her thoughts through a distinctive visual language. Her areas of deep interest include epistemology, cognition, existence, relationships, relativity, and more. Drawing upon these interests, she uses her artwork to question the ways in which we perceive the world and our convictions about it.

Recently, Heoyu has been focusing on projects that explore the perspective which is the way of recognizing objects. She aims to create figures that are not immediately recognizable on the flat surface. Rather, she intends for people to experience slight optical illusions or a sense of motion when viewing these figures. Heoyu seeks to create a sense of depth through the subtle layers present in her multi-layered figures, even with the use of the most basic elements such as a dot or line.

Heoyu enjoys exploring the various cognitive aspects of objects and employs a range of expressive forms, including paintings, photographs, installations, and writings, to express her subject matter.


EDUCATION
B.F.A. in Oriental Paint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B.A. in Philoso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SOLO EXHIBITION
2023  Awe of Existence, Prompt Project, Seoul
2022  Incomplete Blue Dream, Traart Gallery, Seoul
2022  The Moments in Between, 0 Gallery, Seoul
2019  What is True, CYART Space, Seoul
2019  What Exists, Gallery KNOT, Seoul
2019  Emptiness of the Thing, Gallery DOS, Seoul
2016  Substance, Gallery DOS, Seoul
2015  Individuals, Creavity Lab, Seoul

GROUP EXHIBITION 
2022  Trace the Trace, Keumsan Gallery, Seoul, KR
2022  Opening, Azur Gallery, Miami, US
2022  Artfair Innsbruck, Olympiaworld Innsbruck, Innsbruck, AT
2022  Heoyu x Seunghwa Lee, GS Gallery Sisun, Seoul, KR
2022  Connecting Dots, Azur Gallery, Berlin, DE
2021  Jeonnam International SUMUK Biennale, Mokpo, KR
2021  Seoul 25 Public Art: Everything about Transparency, Peace Culture Bunker, Seoul, KR
2021  Portfolio: As It Is, 291Photographs, Seoul, KR
2020  Ordinary Summer Days, LOTTE Department Store, Busan, KR
2019  Tone 1, FOLD Gallery, London, UK
2019  Portrait 2019, CICA Museum, Gimpo, KR

ART FAIR
2023  FOCUS New York Artfair, Chelsea Industiral, NY, US
2022  FOCUS Artfair, Carrousel de Louvre, Paris, FR
2021  FOCUS: Color of Life, Saatchi Gallery & Fold Gallery, London, UK

PUBLICATION
2018  Kaweon Kim(Heoyu), ⟪뜻밖의 질문들⟫, Whalebooks(Seoul)

LECTURE
2020  ⟪철학입문: 철학을 시작하는 방법⟫, 0 Gallery, Seoul, KR
2019  Author's Invitational Lecture ⟪뜻밖의 질문들⟫, Daegu Book Forum, Daegu

BOOK COVER
2019  Soomyung Lee, ⟪횡단⟫, Minumsa(Seoul)
2019  Annie Ernaux, ⟪사건⟫, Minumsa(Seoul)

ARTBOOK
2015  ⟪ART YELLOW BOOK #1⟫, Press (CICA Museum), Gimpo
2019  ⟪Double Fantasy⟫, HEOYU x Jinwook Chung, Studio Essai


1.

나는 지금부터 작가로서 ‘허유’를 소개하고자 한다. 스스로 부여한 ‘허유’라는 이름은 단순히 대상을 지칭하는 수단이 아니라 그것의 속성을 함축적으로 드러내는 하나의 표징으로서 나의 생각들을 함축하고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虛, 有 / 비어있으나 있는
비어있는 것으로 보이나, 있다. 여기에서 ‘허’는 진정한 의미의 허, 무(無)를 뜻하지 않는다. 단지 비어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흔한 예로는 공기와 같은 속성이다.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상자(일상 언어로서)가 있다고 치자. 많은 이들은 ‘텅 빈 상자’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어떤 이는 공기로 가득 차 ‘있다’고 할 것이다. 이들은 가시적인 ‘비어 있다’는 현상을 바로 존재론적 ‘무’로 보는 비약을 범하지 않는다. 나는 후자에 서서 끊임없이 고민한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다. 비어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건-가시적인 측면일 뿐이라고-단지 당신의 눈에 그렇게 보일 뿐이다. 가시적인 속성은 말 그대로 ‘속성’일 뿐이다. ‘속성’을 가지고 ‘본질-존재’를 논할 수 없다.

虛 → 有 / 비어있기에 있는
‘허’는 ‘유’의 근거가 된다. 본래적 ‘유’란 없다. ‘있음’은 ‘없음’을 전제해야만 가능하다. 어떤 것이 ‘유’하다는 것은 ‘생겨남’이라는 변화를 전제해야 하고 그것은 바로 ‘없음’에서 비롯된다. (여기에서 ‘허’와 ‘무’는 따로 구분하지 않는다.) ‘허’를 ‘유’의 앞에 두는 것은 곧, ‘유’에서 ‘무’로의 전환-사멸-에 대한 의미를 달리하게 만든다. 많은 이들은 ‘유’를 인식할 때 그것의 선행사건 ‘허’는 묻지 않는다. 그들에게 ‘유’는 그렇게 인식된 이상 지속을 전제하고 당연한 것이 된다. 이러한 당연한 ‘유’에 대한 믿음은 그것이 ‘허’가 될 때 엄청난 충격과 두려움으로 변하게 된다. 그러나 ‘유’는 당연하지 않다. ‘허’에서 ‘유’로의 이행과정-생겨남-을 반드시 내포한다는 의미에서 ‘유’는 특별한 변화이며 동시에, 그러나 변화일 뿐이다. 변화는 영원하지 않다.

虛 = 有 / 비어있음이 있는
비어있음이라는 그 자체가 있다. 이 맥락은 아직까지 나에게 있어 시시각각 수만 가지 생각들로 변한다. 이 세상은 어쩌면 비어있는 그 자체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2.

‘허유’로서의 삶을 시작한 이후부터 나는 어떠한 일도 계획하지 않는다. ‘생겨남’이라는 변화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미리 계획할 수도 없다. 단지, 생겨난 이후 그것들을 종합하고 그것들 사이로 관통하는 희미한 관심사를 발견할 뿐이다. 어느 누가 철학자는 자신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알고자 한다고 했던가. 마찬가지로 예술가는 끊임없이 답없는 질문을 풀기 위해 고민한다. 답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예술을 행하고, 예술을 통해 답을 얻고자 한다. 그러나, 그러한 ‘규정할 수 없는’ 예술의 본질적 성격으로부터 답을 내릴 수 없음은 자명하고 그렇게 예술 행위는 끊임없이 순환하며 멈추지 않는다. 허유로서 나는 이 순환적인 예술 행위에 몸을 실을 수 있을 뿐이다.

1.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artist “Heoyu”. “Heoyu” is the name she has chosen for herself as an artist. But “Heoyu” is more than a name. It takes on the role of a symbol and is thus representative of her thoughts as a whole.

虛 [Heo:emptiness], 有 [Yu:being]
: empty but present
It seems to be empty but yet there is something. The emptiness doesn’t mean the void. It just looks as if there is nothing.

虛 [Heo:emptiness] → 有 [Yu:being]
: to exist by means of the emptiness
Only in the state of emptiness can things exist. Nothing can be present without knowing this previous state. As we have known this empty state, we can appreciate changes to this state how it changes due to appearance of an object.

虛 [Heo:emptiness] = 有 [Yu:being]
: emptiness is another form of existence
As such, we can perceive the void in the same way that we can perceive the coming into existence of something. This realization has made me observe the void in different ways. Perhaps the world exists only in the empty state.


2.

The artist has not made any plans since she gave herself the name “Heoyu”. As she cannot anticipate the apparitions, plans do not seem that useful. She only observes the apparitions and synthesizes them in an attempt to find commonality. It has been said that philosophers continue to seek knowledge until they no longer understand it. This is similar to the situation of the artist. They attempt to answer their own questions and struggle to find the answer. Their work is the result of this struggle. Eventually, they realize that Art cannot be defined. This is why they never stop painting, drawing, writing, singing, dancing, etc. Likewise, “Heoyu” as an artist maintains the same pattern; continues to pursue these activities.










©HEOYU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